-
신명기 25장, "신을 벗기다"의 의미는?Faith with 안목/Bible Questions 2019. 10. 18. 23:21반응형
Q.신명기 25:9의 "신을 벗기다"에 담긴 의미?
A.신명기 25:5-10에는 형사취수제(Levirate marriage, 형이 죽은 경우 동생이 형수와 결혼하는 제도)와 관련된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형사취수제를 행했던 목적은 죽은 형제의 가계가 이어지는 것과 더불어 과부가 된 여인을 보호하는 목적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신명기 25:7-10에는 형사취수를 원하지 않는 경우, 이를 징계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죽은 형제의 아내가 형사취수를 거부한 사람의 발에서 신을 벗기고 그의 얼굴에 침을 뱉도록 하고, 사람들은 형사취수를 거부한 자를 "신 벗김 받은 자의 집"이라고 불리도록 하는 것입니다. 개인적인 수치는 물론 사회적 수치를 줌으로써 형사취수제도가 잘 시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지요.
왜 하필 신발을 벗기도록 한 것일까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의견이 있습니다.
우선 전통적인 해석은, 룻기와 연결된 해석입니다. 룻기에서 신발을 벗어서 주는 것은 재산권의 양도를 상징합니다: "옛날부터 이스라엘에서는 사람들이 물건을 바꾸거나 새로 살 때에 한 사람이 자기 신을 벗어서 다른 사람에게 주는 관습이 있었는데, 그것으로 물건을 사고 파는 증거를 삼았습니다"(룻 4:7, 쉬운성경). 같은 관점으로, 신명기 25장에서 신을 벗기는 의미는 형제의 유산과 과부를 돌봐야 하는 책임/권리를 빼앗음으로서 형사취수의 책무로부터 해방되었음을 의미한다는 해석입니다. 다만, 이 해석은 룻기와 신명기의 컨텍스트와 행위의 주체가 다르다는 점에서 동일하게 볼 수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두번째 해석은, 신발을 벗기는 것이 "수치"(humiliation)와 관련이 있다는 해석입니다. 신발을 벗기고 침을 뱉는 행위와 공동체가 "신 벗김 받은 자의 집"이라고 부르는 목적은 모두 해당 인물에게 수치를 줌으로써 형사취수제를 유지하려는 목적이 있다는 해석입니다. Ginzburg, Carmichael, Chinitz등 많은 학자들이 "수치"라는 관점에서 이 해석을 지지합니다.
다만, 학자들에 따라 세부적인 차이가 있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Chinitz의 경우는 신발을 벗는 행위는 컨텍스트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부연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룻기에서는 소유권의 이전을, 모세와 여호수아가 신을 벗었던 것은 거룩한 땅에서의 겸손을, 그리고 신명기에서는 수치의 행위라고 설명하기도 합니다.
Caramichael의 경우는, 창세기 38장의 오난의 이야기와 연관시켜서, 신발과 발은 각각 여성과 남성의 성기를 상징하며, 침을 뱉는 것은 오난이 땅에 설정하는 것과 같다고 해석합니다. 성경은 오난의 행위가 하나님 보시기에 악한 행위(창 38:10)라고 설명하기에, 형사취수를 거부하는 것은 오난의 행위처럼 수치스러운 일이라는 해석입니다. 하지만, Caramichael의 해석은 성경의 기본적인 은유와 맞지 않는다는 비판과 더불어, 신명기 25장과 창세기 38장이 서로 연관되어 있다는 근거가 희박하다는 등의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만약에 두 이야기가 연관되어 있다면, 신발 벗김당한 자의 집이 아니라 오난과 같다 혹은 오난의 집 등 직접적인 표현을 사용했을 것이라는 것이지요)
저는 개인적으로 신발은 개인의 소유권을 상징하며, 신을 벗는다는 의미 자체는 자신의 소유를 포기한다는 것으로 봅니다. 이 관점에서는 모세/여호수아가 거룩한 땅에서 신을 벗은 의미, 룻기에서 보아스의 친척이 신을 벗은 의미, 그리고 신명기에서 형사취수를 거부한 형제가 자신이 마땅히 행해야할 의무/권리를 포기하는 의미를 다 담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신명기에서는 여성이 남성의 신을 강제로 벗기는 행동과 더불어 침을 뱉음으로써, "수치"를 강조하는 의미가 덧붙여진다고 봅니다.
(출처: Possible Meanings for "Removing the Sandal", The Lexham Bible Dictionary )
#사족: 성경에서 "신을 벗기는 행동"은 이런이런 의미다라는 직접적인 표현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며, 어느 하나가 정답이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성경해석의 중요한 기준 중 하나인 성경이 성경을 해석하게 하는, 다시 말하면 성경 전체의 관점에 벗어나지 않도록 해석하는 것은 중요한 일입니다.
반응형'Faith with 안목 > Bible Questions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나돗" 출신 예레미야, "아나돗"의 의미 (0) 2019.10.22 예레미야가 하나멜로부터 땅을 되산 것은 "고엘"인가요? (0) 2019.10.18 이사야서의 "경고"가 burden인 이유 (0) 2019.09.17 목회자들의 월급을 교회에서 주어야 하나요? (0) 2019.07.23 막6:13 병자들에게 기름을 바른 이유는? (0) 2019.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