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금 언약은 무엇인가요?Faith with 안목/Bible Questions 2019. 5. 10. 03:33반응형
Q. [대하 13] 소금 언약은 무엇인가요?
A.고대 근동에서는 중요한 계약을 맺을 때, 계약의 당사자가 함께 소금을 먹음으로써 증거로 삼는 문화가 있었다고 합니다. 이처럼 소금이 계약의증거로서 사용되었던 이유에 대해서는 당시에는 소금의 가치가 매우 귀했으며, 소금이 음식을 오래 보존하게 하는 속성으로 인해 불변하는 계약의징표였다는 해석이 있습니다.
레위기에서는 소제(grain offering)에서 소금을 포함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번역의 차이를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레 2:13, 개역개정) 네 모든 소제물에 소금을 치라 네 하나님의 언약의 소금을 네 소제에 빼지 못할지니 네 모든 예물에 소금을 드릴지니라
(레 2:13, 쉬운말성경) 모든 곡식 제물에는 항상 소금을 쳐라. 곡식 제물을 바칠 때는, 하나님과 맺은 계약은 변치 않는 것이라는 뜻에서 소금을 빼놓으면 안 된다. 너희가 바치는 모든 제물에는 소금을 쳐야 한다
(Lv 2:13, NRSV) You shall not omit from your grain offerings the salt of the covenant with your God; with all your offerings you shall offer salt.
(Lv 2:13, NLT) Season all your grain offerings with salt to remind you of God's eternal covenant. Never forget to add salt to your grain offerings.
쉬운말성경과 NLT에는 왜 "언약의 소금"인지에 대해서 부연설명을 하는데, 계약의 증거로서 소금의 이유를 잘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민수기 18:19에서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께 거제로 드리는 모든 성물은 내가 영구한 몫의 음식으로 너와 네 자녀에게 주노니 이는 여호와 앞에 너와 네 후손에게 영원한 소금 언약이니라"라고 "소금 언약"이 언급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대하 13장에서 아비야 왕이 "소금 언약"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이유는, 하나님과 이스라엘이 맺은 언약의 확고부동함을 강조하는 의도로 사용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Faith with 안목 > Bible Questions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욥기 1장] 하나님의 아들들은 누구인가요? (0) 2019.06.05 구스는 에티오피아인가요? (2) 2019.05.10 [역대상 5장] 유다와 요셉이 가진 장자의 권리와 명분(왜 예수님이 요셉이 아닌 유다의 후손으로 오셨나요?) (0) 2019.04.19 [대상 1] 여성이 족보에 언급되는 이유 (feat. 성경속 여성의 책임/역할/위상) (0) 2019.04.19 [왕하 23] 요시야 왕의 유월절이 특별했던 이유 (feat. 결국 리더가 문제다) (0) 2019.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