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with 안목/Religions
-
존 비비어의 "은혜" 정말 좋은 책인가?Review with 안목/Religions 2015. 4. 25. 23:32
존 비비어의 은혜저자존 비비어 지음출판사두란노서원 | 2010-03-15 출간카테고리종교책소개[순종]의 저자 존 비비어의 최신간! 빛나는 그리스도인의 삶을 ...글쓴이 평점 존 비비어에 대한 이름을 들어 본 적은 있는데, 누군지는 잘 모르겠고, 그래도 출판사가 "두란노"여서...게다가 멋진 글씨로 쓰여진 책 제목 "은혜"가... 왠지 과거에 읽었던 필립얀시의 "놀라운 하나님의 은혜"와 같은 감동을 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읽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책을 읽으면서 점점 이 책이 정말 기독교인들에게 좋은 책일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마지막 페이지를 덮은 뒤, 가장 먼저 한 일은 이 책에 대한 다른 서평들을 찾아 보는 것이었습니다.한 두개의 글을 제외하고는 많은 이들이 이 책에 대한 찬사를 아끼지..
-
목사의 딸 을 읽고: 한국교회의 목회자들을 향한 외침Review with 안목/Religions 2015. 4. 2. 11:59
목사의 딸저자박혜란 지음출판사아가페북스 | 2014-12-05 출간카테고리종교책소개故 박윤선 목사의 딸이 말하는 아버지의 신앙관과 가슴 아픈 가족...글쓴이 평점 나는 박윤선 목사에 대해 잘 알지 못합니다. 모태신앙으로 성장했고, 기독교와 종교에 대해서 공부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신학계의 거두 중의 한명이라 할 수 있는 박윤선 목사를 몰랐다는 것은 그만큼 한국교회에 대한 자신의 무지를 드러내는 부분입니다. 그런데, 제가 잘 몰랐던 박윤선 목사에 대해서 듣게 된 것은, 그가 남긴 신학적 업적때문이 아니라,그의 딸이 쓴 "목사의 딸"이라는 책에 대한 심각한 비난의 글을 통해서였습니다. 박윤선 목사나 "목사의 딸"이라는 책을 몰랐던 저에게는 현재 특정교단의 신학교에서 활발히 활동을 하고 있고, 주요 보직을 ..
-
[리뷰] 세상이 묻고 진리가 답하다Review with 안목/Religions 2011. 7. 6. 16:39
세상은 넓고 볼 것은 많다?! 참 당연한 말이지만, 스마트폰과 함께 빠르게 발전하는 IT 혁신 속에서 새삼 이 명제를 다시 한번 실감하게 된다. 2010년 초 처음으로 TED를 알게 되며, Ideas Worth Spreading이라는 TED의 가치에 매혹되고 이렇게 좋은 강연이 있다는 것을 늦게 알게 된 것에 대해 안타까워했던 일이 있었는데, 이번에 다시금 [세상이 묻고 진리가 답하다 A Place for Truth]를 읽으면서 Veritas Forum 을 알게 되고 또 다시 이렇게 좋은 강연을 늦게 알게 된 것에 대해 안타까워했기 때문이다. Veritas Forum 진리(Truth)를 의미하는 Veritas. 하버드 대학교의 모토?이기도 하지만, 서울대학교의 모토(진리는 나의 빛 Veritas Lux ..
-
안티기독교인들을 위한 책Review with 안목/Religions 2011. 6. 8. 09:02
기독교 국가에 보내는 편지 라는 제목에 낚였다. 내가 찾고 있던 책은 한 아프리카 추장이 서구 사회에 대해 보내는 편지였는데.... 책 제목만 보고 선뜻 골라왔더니만 이상한 책을 가져온 결과가 되었다... 저자인 샘 해리스는 종교 비판가로 제법 이름을 날리고 있는 학자로, 이전 책 에 대한 많은 비판이 본 책 집필의 계기였다고 밝히고 있다. 즉 자신의 책에 대한 비판들 중 특히 기독교인들이 많았는데 그들의 종교 논리 혹은 도그마에 대해 논리!적 및 이성!적으로 비판하고 있다. 저자는 기독교인들의 믿음의 근간이 되는 성경의 잔혹?한 구절들을 인용하며 윤리, 선함 등과 모순됨을 보여준다. 기독교인들은 자신들의 종교가 사랑의 종교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자이나교가 더 사랑많은 종교라고 비꼬기도 하며, 낙태,줄기세..
-
<리뷰> 하나님의 나라 교회 그리고 세상Review with 안목/Religions 2011. 5. 20. 17:06
평화, 땅, 집, 도시,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정의, 안식, 희년... 저자인 하워드 스나이더(Howard Snyder)가 밝히는 7가지 하나님 나라의 주제이다. 이 7가지 정의는 하나님 나라가 무엇이냐에 대한 설명인 동시에 하나님 나라가 가지는 특징이다. 이 7가지 키워드를 통해 독자들은 하나님 나라의 현재성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하나님 나라를 강조하는 저자의 관점은 세상을 향한, 그리고 무엇보다 정의(justice)에 대한 강조에서 잘 읽을 수 있다. 저자는 복음전도와 정의는 하나님의 나라를 향한 양대 산맥임을 보여주지만 상대적으로 왜곡되어 왔던 사회 정의(justice for society)를 강조한다. 이 땅에 제한적이나마 하나님의 나라를 구현할 수 있는 매개체로서 “교회”의 중요..
-
「리뷰」 한국 전통사회에서의 삶과 죽음Review with 안목/Religions 2011. 5. 11. 16:45
인간이 피해갈 수 없는 마지막 숙명인 “죽음”은 언제나 중요한 관심의 대상 중 하나입니다. 본 책의 여섯 저자들은 각자의 전공을 살려 인도, 티벳, 몽골, 중국, 한국 등 아시아의 다양한 죽음 문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중 이용범이 쓴 은 한국 전통사회에서의 죽음이 지니는 의미와 문화형태를 한국 유교의 상장례 및 일부 무속의 신관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삶과 죽음이 분리된 현대 한국사회에 달리 전통 한국사회에서의 죽음은 회피할 대상이 아니라 오히려 준비하고 맞이할 대상이며(p.312), 상례(喪禮)는 축제의 장(p. 315)이라는 저자의 설명은 현대 한국사회에서도 그대로 재현되고 있는 내용이기에 낯설게 다가오지 않습니다. 다만, 저자는 상례의 공간이 삶의 터전이었던 가정집에서 죽음을 전문..
-
[리뷰]그들은 왜 가톨릭교회로 갔을까?Review with 안목/Religions 2011. 4. 23. 20:56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를 통해, 개신교인이 감소하고, 가톨릭이 교세를 확장하고 있다는 통계 결과가 발표되자, 이에 대해 다양한 해석들이 제시되었다. 지나친 배타주의와 과도한 선교정책 등으로 인해 사회로부터 비난을 받고 있던 한국 개신교의 문제점이 수치로도 드러나는 상징적인 결과였기 때문에 교계 및 학자들의 관심은 집중될 수 밖에 없었다. 박영신, 오경환, 조성돈, 정재영, 이승훈 등 5명의 저자가 참여한 본 책은 이러한 종교지형의 변화에 대한 각자 나름대로의 고민과 분석을 담고 있는 책이다. 박영신은 "한국 개신교회의 성장과 반전"에서 개신교가 물질주의 , 경제 지상주의의 이념을 수용하여 자신의 참모습을 상실했기 때문이라고 비판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예로 교회건축을 지적하고 있다. 오경환은 가톨릭 ..
-
부흥? 교회갱신!의 모델, 그리고 전략Review with 안목/Religions 2011. 3. 16. 16:47
원제 : Sign of the Spirit : How God Reshape the Church? 저자 : Howard A. Snyder 20세기 기독교의 가장 큰 바람 중의 하나는 머니머니 해도 오순절 성령운동 (Pentecostalism)이라고 할 수 있다. 가톨릭, 개신교, 동방정교를 비롯하여 기독교의 제4대 전통으로까지 분류되는 오순절 성령운동은 종교의 세속화를 주장하던 종교학자(종교사회학자)들의 예언을 무참히 깨고, 종교가 다시 부활하고 있다는 강력한 증거로 제시되고 있기 때문이다. 오순절 성령운동에 대한 신학적 역사를 추적하는 많은 책들이 이미 기존에 나와 있고, Howard A. Snyder가 쓴 이 책도 원제가 Sign of the Spirit 이기 때문에 비슷한 연장선의 책이 아닐까 생각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