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ith with 안목/Bible Questions
-
예언서/선지서는 어떤 책을 말하나요?Faith with 안목/Bible Questions 2019. 10. 30. 08:06
Q.예언서/선지서는 어떤 책들을 말하나요? A.기독교 전통에서 예언서 혹은 선지서는 대선지서(the major prohets) 5권과 소선지서(the minor prohets) 12권으로 구성된 총 17권의 책을 말합니다. 예레미야의 경우, 예레미야서와 예래미야 애가 2권을 썼던 것을 제외하고 각각의 선지자들이 한 권씩 선지서를 기록했기 때문에 총 16명의 선지자들이 쓴 책이 선지서입니다. 그런데, 기독교 전통에서의 선지서와 유대교 전통에서의 선지서 구분이 다르다는 차이를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유대교 전통에서 성경은 TaNaK으로 불리는데, 이는 Torah(율법), Nevi'im(선지서), Ketuvim (성문서)의 세 분류의 앞글자를 딴 이름입니다. 유대교 전통에서 선지서(Nevi'im)에는 기독교..
-
예수님의 "인자"와 에스겔의 "인자"는 같을까요? 다를까요?Faith with 안목/Bible Questions 2019. 10. 29. 08:32
어린 시절, 복음서를 읽다가 예수님이 자신을 "인자"로 표현하실 때, 예수님이 인자(仁慈)하시기 때문에, 자비로우신, 사랑이 많으신 분이기 때문에 "인자"로 표현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다가, 어느 때였는지 정확히 기억나지는 않지만, 영어 성경에 the Son of Man라고 쓰여져 있음을 알고, 깜짝 놀랐습니다. 아, 예수님이 말씀하신 "인자"가 인자(仁慈)가 아니라 인자(人子)였구나… 신God임에도 불구하고 사람의 몸으로 오셨기에, 성육신(incarnation)을 강조하기 위해서 the Son of Man이라는 표현을 사용했구나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더 시간이 지난 후에, 누군가에게 설명하기 위해 검색을 했을때, 예수님이 본인을 인자로 표현하신 이유는 다니엘서 7장에 등장하는 종말론적(apocalyt..
-
이사야 40장, "너희는 위로하라 내 백성을 위로하라"의 의미Faith with 안목/Bible Questions 2019. 10. 27. 19:48
Q."너희는 위로하라 내 백성을 위로하라"(사 40:1)에서 "위로"는 무슨 의미인가요? A.이사야서 40장은 이사야 전체에서의 turning point와도 같습니다. 지난 39장까지 심판과 회복이 교차되면서 소개되었지만, 그 핵심이 "심판"이었다면, 이제 본격적인 "회복"과 "희망"이 선포되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하나님께서 "너희는 위로하라 내 백성을 위로하라"라고 선포하시는 메세지는 참 의미가 깊습니다. 히브리어 성경에서 "위로"로 주로 번역된 단어는 "nacham"이라는 단어입니다. 이 단어는 be sorry, console, comfort, repent 등의 의미로 번역되곤 합니다. 성경에서 이 단어가 가장 처음 쓰인 본문은 창 5:29에서 라멕이 자신의 아들 이름을 "노아"로 지으면..
-
[성경의 지명] "구스"는 어디인가요?Faith with 안목/Bible Questions 2019. 10. 24. 00:28
Q.[대하 14] "구스"는 에티오피아인가요? A. 성경에서 종종 등장하는 "구스"(Cush)는 보통 에티오피아(Ethiopia)로 번역되곤 합니다. 그러나, 에티오피아만으로 한정할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에덴 동산과 관련된 묘사 중, "둘째 강의 이름은 기혼이라 구스 온 땅을 둘렀"(창 2:13)다고 하는데, 후대의 구스와는 다른 지역이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요세푸스는 Antiquities of Jews에서 구스와 에티오피아의 연관성을 지적하기도 하지만, 당시의 구스가 오늘날의 에티오피아와 동일한 지역을 가리키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있습니다 (두란노성경사전에는 "함의 아들인 구스 자손이 거하던 지역으로 애굽 남쪽에 위치한 지역이다(대하 12:3). 성경에서 이곳은 에디오피아로 번역되었는데,..
-
실로의 흥망성쇠Faith with 안목/Bible Questions 2019. 10. 22. 08:59
실로(Shiloh)는 에브라임의 북쪽지역의 도시로, 여호수아가 가나안 정복을 마치고 실로에 회막을 세웠던 장소(수 18:1)입니다. 여호수아 이후로 사무엘 시대까지 이스라엘의 법궤(언약궤)가 이곳 실로에 머물렀기에 이스라엘 사람들은 실로에 모여 여호와의 절기를 지켰습니다. 예를 들어, 사무엘상 1-3장에는 제사장 엘리(Eli)와 그의 아들들이 실로에서 여호와의 제사장으로 일하고 있었을 때, 사무엘의 어머니인 한나가 실로로 기도하러 왔었던 내용과 더불어, 하나님께서 사무엘에게 직접 말씀하셨던 장소도 바로 실로였습니다. 이처럼 실로에는 하나님의 임재를 상징하는 여호와의 언약궤가 있었기에 여호수아 시대부터 이스라엘의 종교/사회의 중심지였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이 블레셋과의 전쟁을 위해 언약궤를 가지고 갔다가..
-
선지자 예레미야와 요시야 왕의 관계Faith with 안목/Bible Questions 2019. 10. 22. 08:58
예례미야의 활동시기는 BC 628-585으로 요시야, 여호아하스, 여호야긴, 여호야김, 시드기야 왕이 남유다를 통치할 시기였습니다. 예레미야는 아나돗 출신 + 어린 나이였기 때문에 요시야 왕이 여호와의 성전에서 율법책을 발견했을 때, (예레미야가 아닌) 여선지자 훌다(Huldah)가 여호와의 말씀을 제사장과 왕에게 전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왕하 22:13-20) (사족 1참고) 비록 예레미야가 하나님께 부름을 받고, 전반부의 많은 메세지를 들었던 배경이 요시야왕때였지만 (사족2 참고), 요시야왕의 개혁과 어떻게 연관이 되어 있었는지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요시야 왕이 죽었을 때, 예레미야가 그를 위하여 얘가를 지었다는 점(대하 35:25)과 요시야의 개혁과 예레미야의 메세지가 가지는 공통점으로 ..
-
"아나돗" 출신 예레미야, "아나돗"의 의미Faith with 안목/Bible Questions 2019. 10. 22. 08:56
아나돗은 베냐민 지파의 성읍중에서 제사장/레위인들을 위해 주어진 성읍입니다(수 21:18) 아나돗 출신 중에는 대제사장 엘리(Eli) 의 자손이자 사울과 다윗때 대제사장으로 일한 "아비아달"이 있습니다. 아비아달은 압살롬이 반역을 일으켰을 때, 다윗을 도왔던 인물이었지만, 이후 아도니야를 지지하였다가 솔로몬이 왕이 된 후에 고향인 아나돗으로 추방되었습니다(왕상 2:26-27) 예레미야 1장 1절에는 "베냐민 땅 아나돗의 제사장들 중 힐기야의 아들 예레미야의 말이니라"는 기록과 함께 예레미야의 출신배경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베냐민 지파의 영역이었지만, 제사장/레위인들에게 주어진 땅 아나돗에서 제사장 중 한 명인 힐기야의 아들로서 성장을 했던 것이지요. 두란노성경사전에는 예레미야가 (솔로몬에 의해 추방된) ..
-
예레미야가 하나멜로부터 땅을 되산 것은 "고엘"인가요?Faith with 안목/Bible Questions 2019. 10. 18. 23:27
Q.예레미야가 하나멜로부터 땅을 되산 것은 "고엘"인가요? (렘 32:7) 보라 네 숙부 살룸의 아들 하나멜이 네게 와서 말하기를 너는 아나돗에 있는 내 밭을 사라 이 기업을 무를 권리가 네게 있느니라 하리라 하시더니 (렘 32:8) 여호와의 말씀과 같이 나의 숙부의 아들 하나멜이 시위대 뜰 안 나에게 와서 이르되 청하노니 너는 베냐민 땅 아나돗에 있는 나의 밭을 사라 기업의 상속권이 네게 있고 무를 권리가 네게 있으니 너를 위하여 사라 하는지라 내가 이것이 여호와의 말씀인 줄 알았으므로 A.예레미야 32:7-8을 읽으면서 레위기(레 25:23-28)와 룻기에서 등장했던 "고엘" 제도가 떠올랐습니다. 그래서, 원어를 찾아봤는데, 고엘의 동사형 "가알"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는 않더군요. 한국어/영어 성경 ..